공통 응급상황 관련 구술 정리
페이지 정보

본문
응급상황 관련 구술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파일로도 첨부합니다.
* 응급처치란 무엇이고, 응급처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 응급처치는 응급환자에게 골든타입 내에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 환자 상태에 따라 심폐소생술, RICE(S), 하임리히법, 빠른 지혈 등을 시행합니다.
* 응급처치에서 3C란 무엇인가?
- check, call, care, 3가지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 의식 및 호흡을 확인하고, 안전과 주변 환경을 확인합니다(check). 119에 직접 신고하거나, 한 사람을 지목하여 부탁합니다(call). 119가 올 때까지 환자를 돌보며 필요한 처치를 합니다(care).
* 응급처치의 필요성에 대해 말해보시오.
- 응급처치는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치료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필수적입니다.
* 응급상황별 응급처치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 의식유무 확인 후 119에 신고합니다.
- 호흡, 맥박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합니다.
- 부상이 있다면 RICE(S)를 적용합니다.
- 기도가 막혔다면 하임리히법을 실시합니다.
- 화상 시에는 해당부위 옷을 함부로 제거하지 않습니다.
- 출혈 시에는 신속하게 압박하여 드레싱하고, 상처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합니다.
* RICE(S)에 대해 설명하시오.
- 신체에 손상이 있을 때 해주는 처치의 줄임말로, 안정(rest), 얼음찜질(icing), 손상부위 압박(compression), 거상(elevation), 부상부위 고정(support)을 의미합니다.
* 골절환자의 응급처치 방법을 설명하시오.
- 골절부위를 고정하여 2차 손상을 예방해야 합니다.
- 부목고정 시 골절된 부위 양쪽으로 부목을 대고, 삼각건이나 붕대 등으로 묶어줍니다.
* 하임리히법의 방법과 그렇게 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 환자 등 뒤에서 처지자의 한 손을 주먹모양으로 명치에 대고 다른 손을 포개어 껴안은 다음, 강하게 명치를 압박합니다.
- 강하게 밀어올리듯 압박하는 이유는 이물질을 뱉어내게 하기 위함입니다.
* 기도폐쇄의 원인과 응급처치에 대해 설명하시오.
- 이물질로 인한 막힘과 천식 등의 폐질환 등이 기도폐쇄의 원인이 됩니다.
- 이물질로 완전 기도 폐쇄가 일어났을 때는 하임리히법 등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기도를 확보합니다.
- 천식, 알레르기, 만성 폐질환 등에 의한 부분 기도 폐쇄가 있을 때는 호흡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출혈이 있는 환자의 응급처치법을 설명하시오.
- 출혈 부위를 신속하게 압박하여 드레싱하고, 무리가 되지 않는다면 상처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줍니다.
* 의식이 있는 환자는 어떻게 응급처치를 적용하는지 말해보시오.
- 부상 정도를 확인하여, 상태에 따라 119에 신고합니다. 체온 유지를 해주고, 지속적인 대화로 심리적 안정을 돕습니다.
* 의식이 없는 환자는 어떻게 응급처치를 적용하는지 말해보시오.
- 119에 직접 신고하거나, 한 사람을 지목하여 신고를 부탁합니다.
- 환자 상태에 따라 심폐소생술, RICEI(S), 하임리히법 등을 시행합니다.
* 저체온증이란 무엇이고, 그런 환자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합니까?
- 체온이 35도 이하로 떨어진 상태를 저체온증이라고 합니다.
- 우선, 상황을 보고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119에 신고합니다. 옷이 젖었다면 제거하고, 몸통을 담요로 감싸주고, 겨드랑이, 복부, 흉부 등에 따뜻한 물통이나 패드를 넣어 심부체온을 올려주고, 의식이 있다면 초콜렛, 수프 등의 고열량 음식을 먹여봅니다.
* 드레싱을 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 상처가 악화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지혈하고, 감염과 오염을 방지하고, 새어나온 혈액과 상처부위 분비물을 흡수시키기 위해 드레싱을 합니다.
* 2도 화상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대처합니까?
- 2도 화상이란 피부의 진피층까지 손상된 화상을 말합니다. 필요에 따라 119에 신고 후, 화상부위를 물에 충분히 식히고, 물집을 터트리거나 옷을 무리하게 벗기지 않고, 화상연고나 항생제연고가 있다면 발라줍니다.
* 운동 시 체온이 올라가는 이유는 무엇이며, 어떻게 조절해야 합니까?
- 운동 중에는 근육의 수축과 이완, ATP생성과 에너지 대사 활동으로 체온이 상승합니다.
- 땀 배출, 수분 섭취, 시원한 환경에서 운동, 적절한 휴식 등으로 급격한 체온 상승을 예방합니다.
* 쇼크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시오.
- 혈량 감소성 쇼크(저혈량성), 혈관 확장성 쇼크, 심장성 쇼크, 폐쇄성 쇼크(혈관막힘), 신경성 쇼크, 폐혈성 쇼크, 과민성 쇼크(아나팔락시스)가 있습니다.
* 출혈성 쇼크에 대해 설명하시오.
- 동맥류 파열 및 외상으로 인한 혈액감소, 위장관 출혈, 산과적 출혈, 항응고 치료, 혈액성 응고장애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쇼크이며 심한 혈압저하가 있는 저혈량성 쇼크에 포함됩니다.
* CPR, 심폐소생술은 무엇이며, 심폐소생술 중 흉부압박을 어떻게 하는지 설명하시오.
- 심폐소생술이란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추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처치 방법입니다.
- 흉부압박은 1) 하부 흉골에 깍지낀 두 손의 손꿈치를 대고 2) 양팔을 쭉 펴서 환자의 가슴과 수직이 되도록 한 다음 3) 체중을 완전히 실어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5cm 이상 깊이 압박합니다. 환자가 회복되거나 119가 올 때까지 계속하고, 자동제세동기(AED)가 있으면 사용합니다.
* 흉부압박을 깊이 하는 이유와, 완전한 이완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 혈액이 뇌로 갈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을 주기 위해 깊이 압박하며, 압박 후 완전히 이완해야 심장에 피가 다시 충분히 들어올 수 있습니다.
* 심폐소생술은 언제까지 시행합니까?
- 환자가 의식을 되찾을 때나, 119 등의 전문 담당자나 의료인에게 인계할 때까지 시행합니다.
* 심폐소생술의 4원칙을 설명하시오.
- 호흡확인 : 호흡과 맥박을 확인합니다.
- 119신고 : 아무 반응이 없으면 119에 신고합니다.
- 흉부압박 : 가슴 한 가운데를 강하고 빠르게 압박합니다.
- AED : 자동제세동기가 있으면 사용합니다.
* 표준심폐소생술은 어떤 경우에 적용합니까?
- 표준심폐소생술은 인공호흡을 함께 실시하는 방법으로, 심정지의 원인이 익수 등의 비심장성인 경우, 심정지 시간이 긴 경우, 호흡성 원인으로 심정지가 의심되는 경우에 적용합니다.
*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는 무엇입니까?
- 심장기능 정지 시 사용하는 응급처치 기기로, 심장 박동을 정상화하기 위해 필요한 이에게 누구나 쉽게 전기충격을 주는데 쓰는 의료장비입니다.
* 자동제세동기는 어떻게 사용합니까?
- 먼저 전원을 켭니다. 패드1을 우측 쇄골 아래, 패드2를 좌측 유두 옆 겨드랑이에 부착합니다. 사람들을 주위에서 물러나게 한 후 심장리듬을 분석하고, 안내에 따라 전기충격을 누릅니다.
- 그 후 다음 심전도를 분석할 때까지 가슴압박심폐소생술을 실시합니다.
* AED 사용 시 주의사항과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 심장리듬 분석과 전기충격 시 주변 사람들을 환자에게서 물러나게 해야 합니다. 부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감전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첨부파일
-
구술_응급상황.docx (18.1K)
1회 다운로드 | DATE : 2025-05-01 18:30:31
- 이전글실기 구술 성폭력 예방교육 자료입니다! 25.05.04
- 다음글탁구 구술 (기술/이론) 자료 입니다. 25.04.29
댓글목록

makiko님의 댓글
makiko 작성일감사합니다. 열심히 외우겠습니다

수린이님의 댓글
수린이 작성일자료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