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체육 특징 및 체육단체 / 체육인 > 시험 팁 & 정보 공유

본문 바로가기
생활스포츠지도사 합격 기원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필기 일제강점기 체육 특징 및 체육단체 / 체육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고구마
댓글 0건 조회 140회 작성일 25-02-16 11:47

본문

일제 강점기의 체육 특징

1) 민족 전통경기 계승과 보전 (활쏘기, 씨름, 궁술) - 일제탄압에 저항하는 수단도 됨- 1930년대 민족주의 체육활동을 민중화 운동으로 확산

2) 근대 스포츠 보급과 확산 (YMCA/ 1916년 YMCA가 한국 최초의 실내 체육관 건립)

 

 

일제 강점기의 체육 1910년- 1945년

1. 조선 교육령 공포기의 체육(1910~1914)

* 1차 조선 교육령(1911년- 조선의 우민화 교육)

- 일제에 순응하는 국민 양성 목표- 병식체조를 서전(스웨덴) 체조로 변경.

2. 체조교수요목의 제정과 개정기의 체육(1914~1927)

*2차 조선교육령(1922년-3.1운동 이후 일본 유사수업, 대학교육)

- 학교 체육 통일, 교수방법, 목적, 개념을 구체화- 병식체조를 교련으로 이관 분리하여 민족주의적 체육을 말살/ 학교교육체계에서 체육이 필수화

3. 체조교수요목 개편기의 체육(1927~1941)

*3차 조선 교육령(1938년) 한민족 말살 정책기, 황국 신민화 정책기

- 내선일체 교육/ 군국주의, 교육을 동화나 황민화 수단으로 적극 활용, 소학교, 중학교, 고등여학교로 개칭)/체조 중심 → 유희, 스포츠 중심으로 변화. 육상경기 성행. 국제무대 진출

4. 체육 통제기의 체육(1941~1945)

* 4차 조선 교육령(1943년) –수업 1년 단축, 중등과목 조선어 삭제, 내선 융화

- 전시체제(2차 세계대전)에 맞게 체육이 점차 교련화, 군국 주의 체육- 체력장 제도

 

 

일제 강점기의 스포츠

1914년-탁구: 조선 교육회와 경성 구락부 원유회의 탁구시합으로 시작

1916년- 배구 기독교청년회에서 도입 보급

1921년-스키: 일본인 나카무라/ 골프: 영국인 던트가 효창원 골프코스 만들면서 시작

1924년- 럭비: 조선 철도국 사카구치

1925년-권투: YMCA 체육부의 실내 운동회 정식 종목 등장

1926년- 역도: 서상천이 소개

* YMCA가 한국 체육에 미친 영향

기독교주의/민족사상고취/한국 스포츠 발전과 확산/서구스포츠 도입.

 

 

체육 단체 결성

조선 체육협회(1919) –경성정구회, 경성야구협회 통합,재조선 일본인에 의해 운영, 조선신궁대회 개최, 메이지신궁경기대회

조선 체육회(1920)- 국내체육인, 동아일보,제 1회 전조선 아구대회(1회 전국체육대회), 1923년 육상경기연구위원회구성

1938년 일제에 의해 해산- 조선 체육협회로 통합

관서체육회(1925)- 평양 기독교청년회관에서 결성, 씨름, 수상, 야구, 탁구 대회 개최, 전평양농구연맹전, 전국적 체육단체

 

 

일제 강점기의 체육인

유억겸: 조선기독교청년회 회장, 미군정청 문교부장, 조선체육회 회장

서상천: 일제강점기 역도연맹회장, 대한 씨름협회 회장

이상백: 한국체육회장과 한국올림픽위원회 위원장, 우리나라 출신 두번째 IOC(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

이길용: 1924년 조선체육회 실무위원, 전조선축구선수권대회 임원, 전조선중학교농구선수권대회 위원

손기정: 1936년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 이후 육상경기 연맹회장

※일장기 말소 사건을 기억해야합니다/동아일보 이길용이 일장기를 지우고 신문에 게재하여 일본에게 엄청 고문을 당했다고 합니다..

최승희: 우리나라 최초 서구식 현대적 기법 춤을 창작, 공연

 

추천0
url 복사 카카오톡 공유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텔레그램 공유 네이버 밴드 공유 라인 공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이트 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Copyright © kspo.dolba.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