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기 수영의 역사 등
페이지 정보

본문
◆ F.I.N.A. 국제수영연맹 (Federation Internationale De Natation Amateur)
(페더레이션 인터네셔날리 데 너테이션 아마추어)
- 1908년 제4회 런던올림픽에서 창립. 본부는 스위스 로잔에 위치
◆ 대한수영연맹 : KSF(Korea Swimming Federation)
- 1929년 8월 조선수영구락부에서 시작 1966년 개칭
- 수영의 생활화를 통한 국민체력 향상,수영경기 보급과 우수한 경기인 양성으로 국가체육문화 발전에 이바지
◆ 체육의 날
- 1962년 10월 15일「국민체육진흥법」에 의하여 지정하였다
- 국민 체력 향상을 위한 각종 체육 행사와 아울러 올림픽의 이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지정한 날.
◆ 원시시대 수영 시작 이유
수영이 시작된 이유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그 기원은 확실하지 않다. 다만 인류역사와 함께 시작되었음은 유추해 볼 수 있다. 원시인들은 강가나 바다 근처에서 살면서 물속에서 음식을 얻기 위한 목적, 맹수나 더위를 피하는 목적, 놀이를 위한 목적, 거주지를 옮기기 위한 목적 등으로 수영을 시작했을 것이다.
◆ 세계의 수영역사
- 수영은 옛날부터 인류 생활 수단의 한 방편으로 습득된 자연발생적인 것.
- 가장 오래된 기록은 서기전 9000년경의 것으로 리비아 사막의 동굴암벽에 그려진 헤엄치는 모습.
- 이집트에서는 서기전 2160년경 귀족들에게 페르시아에서는 신체단련과 군사훈련의 과정으로 수영을 가르쳤고, 그리스에서도 일반인에게 보급됨.
- 1987년 영국에서 수영협회가 설립되어 경기로서의 면모를 갖추었고 1896년 아테네올림픽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1908년 런던올림픽대회에서 경기규칙을 제정하여 국제수영연맹이 발족됨.
- 미국에서도 국제수영협회를 결성하여 각국의 조직과 유대관계를 강화하며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와 오늘날에 이르게 됨.
◆ 한국의 수영역사
- 한국의 수영은 삼국시대 이후 수서. 삼국사기 등의 여러 사료에 언급되어 있음.
- 1898년 무관학교 칙령에는 여름휴가 동안 특별히 수영을 훈련하도록 규정되어 있었는데, 이것이 현대수영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음.
- 1916년에는 원산 청년회의 개최로 송도원에서 처음 강습회가 개최되었고 이후 매일신보 주최로 한강 서빙고에서 강습회가 개최됨.
- 1927년에는 한강수영연구회의 수영강습회에서 자유형, 배영, 평영 등이 소개
- 1929년에 동아일보 주최로 제1회 전국수영대회가 개최되었다. 최초의 전국 규모 대회가 열림.
- 해방 후 1945년에 대한수영경기연맹이 조직, 대중적 스포츠로서 일반인에게 널리 보급, 기술향상과 발전을 가져옴.
- 1946년에는 조선수상경기연맹이 창립
- 1958년에는 제3회 도쿄 아시안게임에 최초로 수영 국가대표 선수들이 참가
- 1962년 제4회 자카르타 아시안게임 우리나라 수영역사 첫 메달 획득한 선수 진장림 평영 100 동메달
- 1966년 대한수영연맹으로 개칭
- 1970년 제6회 방콕대회 송재웅 하이다이빙, 조오련 선수 자유형 400m, 1,500m 신기록을 수립하고 금메달
- 2008년 베이징올림픽 올림픽 첫 금메달 박태환 자유형 400m
- 2012년 런던올림픽 박태환 자유형 200,400에서 은메달
- 2018년 자카르타 아시안게임 김서영 개혼 200 금메달
- 2019년 제18회 광주세계수영선수권 대회 7월 12~28일 개최
- 2019년 제18회 광주세계수영선수권 대회 김수지 다이빙 스프링보드 1m 동메달
- 이전글수영 구술 자료공유 25.04.27
- 다음글유도 구술 25.04.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