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 교유기관 및 체육의 발전 단계 > 시험 팁 & 정보 공유

본문 바로가기
생활스포츠지도사 합격 기원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필기 개화기 교유기관 및 체육의 발전 단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고구마
댓글 0건 조회 354회 작성일 25-02-16 11:46

본문

개화기의 교육기관

1) 관립 교육기관- 동문학(통변학교) 육영공원

2) 민간교육기관- ★원산학사(1883년, 민간인설립/ 특수과목으로 문예반의 경서, 무예반의 병서),흥화학교, 중교의숙, 보성학교, 대성학교(안창호),

오산학교(이승훈- 을사늑약을 계기로 설립(교육=국권회복))

3) 선교단계교육기관-배재학당(아펜젤러ㅡ최초 근대적 사학),이화학당, 경신학교

개화기 체육의 발전단계

1) 근대체육의 태동기(1976-1884년)- 무예학교와 원산학사의 정규과정에 무예 체육 포함 → 문예반(50명) / 무예반(200명)

- 원산학사의 무예반 중시의 목적은 왜구 침략에 대항하기 위함.

2) 근대체육의 수용기(1885-1904년)-19년 기독교계 사립, 관립학교의 정규교과과정에 체조과목 편성

배재학당(1885) 이화학당(1886) 경신학교(1886)

관립 외국어 학교 설립(1895)와 YMCA 조직(1903) – 서구 스포츠★

★교육입국 조서(교육조서) – 1895년 고종/ 덕양,체양,지양(삼양강조)/ 소학교 및 고등과정에 체조가 정식과목 채택에 기여( -> 이전까지의 조선의 유교주의 교육의 숭문천무 사고체계는 (유교의 역기능) 체육 및 스포츠 확산의 역기능적 역할을 했었음)

3) 근대체육의 정립기(1905-1910년)- 일반학교에도 체조가 필수 교과 지정/을사늑약(1905년)->교육 제도 개편,체조정식과목

- YMCA 횡성기독교 청년회 운동부 설립★

-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학교 체육은교련의 성격을 띠며 발달/ 민족주의적, 국방체육

추천0 비추천0
url 복사 카카오톡 공유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텔레그램 공유 네이버 밴드 공유 라인 공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이트 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Copyright © kspo.dolba.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