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기 개화기 체육 사상가
페이지 정보

본문
*일본 제국주의 팽창정책으로 국권상실 위기- 민족 지도자들이 체육 강화 주장
1. 이기 - 대한 자강회를 조직. 지육, 덕육, 체육 강조. 사회진화론 수용(실학주의)
2. 문일평 - 조선일보사 편집 고문. 태극화보에 <체육론>을 실었고 5가지를 제언/심신의 조화적인 발달 강조
3. 이기동 - 휘문의숙의 체육교사 역임. <신체조교수서>출판. 체조연구회 조직
4. 이종만 - 개화기 체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대표적인 인물./ 체육이 국가에 대한 효력을 세 가지로 밝힘
5. 노백린 - 신민회를 조직. 민립학교 광무학당을 설립/대한국민체육회의 설립 과정에 발기인으로 참가/1907년 우리나라 최초의 체조강습회를 개최
6. 박은식 - 문 위주의 우리나라 전통교육의 폐단을 지적/교육에서 학교 체육의 중요성을 강조. → 강건한 인재 육성을 주장
7. 조원희- 종래 병식 체조 문제점 지적 – 근대식 학교 체조 보급
8. 이종태- 1905년 관립 외국어학교 교장/지교,덕교,체교
추천0
- 이전글개화기 스포츠 및 체육단체 25.02.16
- 다음글조선 시대의 무예 25.02.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