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기 광복 이후의 스포츠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고구마 작성일 25-02-16 11:52 조회 242 댓글 1본문
광복 이후의 스포츠 (1945년~)6.25 전쟁이후
특징:
1. 엘리트 스포츠 지향 + 국가주의적 경향을 띤 스포츠 내셔널리즘 정책
2. 정치적, 경제적 안정 -> 대중스포츠 발달
3. 정치적, 사회적 이데올로기 바탕으로 특정 단체나 정권이 스포츠 주도
4. 학교 스포츠의 발달 (1970년대 이후)- 박정희 정권 (1961~1979) 이후의 체육 정책의 기조는 체력강화를 위한 체육정책과 우수선수를 위한 엘리트 스포츠 정책.
(1) 교기 육성제도 – 청소년 체력강화를 위한 체육 정책
- 지역에 적합한 스포츠 종목 선택. 발굴, 육성 /- 문제점 : 과열 경쟁,선수들의 학습권x
(2) 소년체전 – 엘리트 스포츠 정책, 우수 선수 조기 발굴/ 전국체전의 큰 규모를 줄이고자 실시(슬로건 : 몸도 튼튼, 마음토 튼튼, 나라도 튼튼)
5. 사회 스포츠의 발달
(1) 조선체육회 부활(1945년) → 민족체육의 위상을 회복하는 원동력
(2) 전국체전 : 1947년 경성 운동장에서 종합경기대회가 열림(기수는 손기정 옹)
** 전국체전의 기원은 제 1회 전조선야구대회
이승만 정권의 스포츠
1947년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IOC총회에서 대한올림픽 위원회(KOC)가 IOC에 가입.
1948년 최초로 14회 런던 하계올림픽에 출전, 조선 체육회가 대한 체육회로 변경
1950년 보스턴 마라톤 대회에서 함기용 송길윤, 최윤칠 선수가 1-3위 차지
* 한국 전쟁으로 제 1회 아시안 게임(1951)과 전국체육대회 무산(1950)
박정희 정권의 스포츠
1961년 ‘체력은 국력’이란 슬로건을 채택.
1962년 국민체육진흥법 공포(스포츠 진흥 정책->우수선수 육성을 위해 국위를 선양 /스포츠의 대중화를 통해 국가발전에 기여)
체육의 날 제정, 체육 주간 제정
1963년 국민 체육 진흥법 시행령 공포
1966년 태릉 선수촌 완공 및 대한체육회관 개관
1968년 정부의 체육 조직 일원화 방침 공포
**대한 체육회, 대한 올림픽위원회(KOC) 대한학교체육회등 3개 단체를 사단 법인 대한 체육회로 통합
1972년 체력장 제도 실시
1974년 메달리스트 종신 연금 계획 확정, 우수 선수 병역 면제 제도 도입
1976년 한국체대 설립, 사회 체육 진흥 5개년 계획 발표
전두환, 노태우 정권의 스포츠 (1979~1987/1988-1992)
엘리트 중심 → 대중 스포츠로 전환
수린이님의 댓글
수린이 작성일자료 정리하느라 수고 하셨습니다.
소중한 자료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