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기 일제강점기 체육 특징 및 체육단체 / 체육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고구마 작성일 25-02-16 11:47 조회 136 댓글 0본문
일제 강점기의 체육 특징
1) 민족 전통경기 계승과 보전 (활쏘기, 씨름, 궁술) - 일제탄압에 저항하는 수단도 됨- 1930년대 민족주의 체육활동을 민중화 운동으로 확산
2) 근대 스포츠 보급과 확산 (YMCA/ 1916년 YMCA가 한국 최초의 실내 체육관 건립)
일제 강점기의 체육 1910년- 1945년
1. 조선 교육령 공포기의 체육(1910~1914)
* 1차 조선 교육령(1911년- 조선의 우민화 교육)
- 일제에 순응하는 국민 양성 목표- 병식체조를 서전(스웨덴) 체조로 변경.
2. 체조교수요목의 제정과 개정기의 체육(1914~1927)
*2차 조선교육령(1922년-3.1운동 이후 일본 유사수업, 대학교육)
- 학교 체육 통일, 교수방법, 목적, 개념을 구체화- 병식체조를 교련으로 이관 분리하여 민족주의적 체육을 말살/ 학교교육체계에서 체육이 필수화
3. 체조교수요목 개편기의 체육(1927~1941)
*3차 조선 교육령(1938년) 한민족 말살 정책기, 황국 신민화 정책기
- 내선일체 교육/ 군국주의, 교육을 동화나 황민화 수단으로 적극 활용, 소학교, 중학교, 고등여학교로 개칭)/체조 중심 → 유희, 스포츠 중심으로 변화. 육상경기 성행. 국제무대 진출
4. 체육 통제기의 체육(1941~1945)
* 4차 조선 교육령(1943년) –수업 1년 단축, 중등과목 조선어 삭제, 내선 융화
- 전시체제(2차 세계대전)에 맞게 체육이 점차 교련화, 군국 주의 체육- 체력장 제도
일제 강점기의 스포츠
1914년-탁구: 조선 교육회와 경성 구락부 원유회의 탁구시합으로 시작
1916년- 배구 기독교청년회에서 도입 보급
1921년-스키: 일본인 나카무라/ 골프: 영국인 던트가 효창원 골프코스 만들면서 시작
1924년- 럭비: 조선 철도국 사카구치
1925년-권투: YMCA 체육부의 실내 운동회 정식 종목 등장
1926년- 역도: 서상천이 소개
* YMCA가 한국 체육에 미친 영향
기독교주의/민족사상고취/한국 스포츠 발전과 확산/서구스포츠 도입.
체육 단체 결성
조선 체육협회(1919) –경성정구회, 경성야구협회 통합,재조선 일본인에 의해 운영, 조선신궁대회 개최, 메이지신궁경기대회
조선 체육회(1920)- 국내체육인, 동아일보,제 1회 전조선 아구대회(1회 전국체육대회), 1923년 육상경기연구위원회구성
1938년 일제에 의해 해산- 조선 체육협회로 통합
관서체육회(1925)- 평양 기독교청년회관에서 결성, 씨름, 수상, 야구, 탁구 대회 개최, 전평양농구연맹전, 전국적 체육단체
일제 강점기의 체육인
유억겸: 조선기독교청년회 회장, 미군정청 문교부장, 조선체육회 회장
서상천: 일제강점기 역도연맹회장, 대한 씨름협회 회장
이상백: 한국체육회장과 한국올림픽위원회 위원장, 우리나라 출신 두번째 IOC(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
이길용: 1924년 조선체육회 실무위원, 전조선축구선수권대회 임원, 전조선중학교농구선수권대회 위원
손기정: 1936년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 이후 육상경기 연맹회장
※일장기 말소 사건을 기억해야합니다/동아일보 이길용이 일장기를 지우고 신문에 게재하여 일본에게 엄청 고문을 당했다고 합니다..
최승희: 우리나라 최초 서구식 현대적 기법 춤을 창작, 공연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